본문 바로가기

산행이야기

임고서원과 단심가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로... 시작되는 포은 정몽주선생의 단심가를 중얼거리며

 

임고서원 단심로를 걸었다. 2017년 3월19일 일요일

 

 

 

 

 

 

 

 

 

 

 

주차장에서 올려다본 조용대 무괴정

 

 

 

 

 

 

 

 

 

 

 

 

 

 

 

 

포은 정몽주선생의 덕행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임고면 고천동에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고 그를 기기기 위해 세워진 서원이다.

 

 

 

 

 

 

 

 

 

 

 

 

 

 

 

 

 

 

 

 

 

 

 

 

 

 

 

 

 

 

 

 

 

 

 

 

 

임고서원 제일앞쪽 입구에는 "동방이학지조" 송탑비가 세워져 있다.

 

퇴계선생의글 시중집자 하였으며 뒷면은 조선시대 어제어필시가 각자 되여있다.

 

이학이란 성리학의 약칭이며 포은 정몽주선생은 성리학의 원조 대가로 칭하는 것입니다.

 

 

 

 

 

 

 

선죽교

 

고려말 공민왕때 선죽교에서 포은 정몽주선생은 조선 태종 이방원에게 척살 당한다.

 

이때 주고 받았다는 단심가 백로가는 후대에 널리 전해져

 

충절을 대표하는 명문이 되였다.

 

 

 

 

 

 

 

 

선죽교 아래로 흐르는 물은 오늘도 무심하게 아무말이 없구나.

 

 

 

 

 

 

 

임고서원과 함께 역사를 간직한 500년 세월을 품고있는 높이 20m의 은행나무.

 

 

 

 

 

 

 

 

 

 

 

 

 

 

 

 

 

 

 

 

 

 

오늘은 유유자적 임고서원을 가운데에 놓고 u자형으로 단심로를 돌아 본다.

 

 

 

 

 

 

 

전망대를 오르는 나무데크 계단을 시작으로 포은 정몽주 선생의 단심로가 시작된다.

 

 

 

 

 

 

 

 

 

 

 

 

일성부원군은 정몽주선생의 부친이다.

 

 

 

 

 

 

 

 

 

 

 

모처럼 나의 동반자 에코를 한캇 해주었지요.

 

 

 

 

 

 

 

 

 

 

 

 

도일지 뚝방 양지쪽에서 점심공양을 하고.....

 

 

 

 

 

 

 

 

 

 

 

 

 

봄처녀

 

 

 

 

 

 

 

 

 

 

 

 

 

 

 

 

 

 

 

 

 

 

 

 

 

 

 

 

 

 

 

 

 

 

 

 

 

 

 

 

 

 

 

 

 

 

 

 

 

 

 

 

 

 

 

 

조옹대와 용연지

 

 

 

 

 

 

 

 

 

 

 

 

 

 

 

 

 

 

 

 

 

 

유유히 흐르는 금호강

 

 

 

 

 

 

 

 

 

 

 

 

 

 

 

 

 

 

 

 

 

 

 

 

 

 

 

 

 

 

 

 

 

 

 

 

 

 

조옹대 무괴정

 

하늘 우러러 부끄럼 한점 없다는 뜻의 무괴정

 

 

 

 

 

 

 

 

 

 

 

 

 

 

 

 

 

 

 

 

 

 

 

 

 

 

 

조옹대 무괴정에서 내려다본 임고서원 전경

 

 

복숭아꽃 살구꽃 이화가 만발할때는 가희 장관을 이룰 것이다.

 

 

 

 

 

 

 

 

 

 

 

 

 

 

 

 

 

 

 

 

 

 

 

 

 

 

 

 

 

 

 

 

 

 

 

 

 

포은유물관

 

이곳은 꼭 들려야할 곳인데 개방시간이 지나서 유감스럽게도 다음으로 미루어야 되겠다.

 

 

 

 

 

 

 

 

 

 

 

 

 

'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지를 그리워하는 욕지도  (0) 2017.04.03
구룡포 말목장성 봄 바닷내음  (0) 2017.03.27
경주남산  (0) 2017.03.14
몸 안에서 부는 2번째 바람  (0) 2017.02.28
영축산 아름다운 암자를 품고있다  (0) 2017.02.12